태그

페이지

레이블이 동남아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동남아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9년 12월 17일 화요일

침향

침향
침향의 수지가 함유된 목재
침향 나무가 상처 받아 흘러나온 검은색 수지가 베어있는 목재가 약효
수지가 벤 검은 목재는 물에 가라앉는다(가라앉을 침)
호랑이를 상처입혀 산에 풀어두면 침향나무를 발톱으로 긁어 나오는 수지로 치료를 한다고
이건희가 심근경색왔을때 1등급 침향을 혈관에 직접 주사했다고함
재배지 : 베트남, 라오스 (침향나무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보호국제협약에 속함)
몸을 따뜻하게 하며 심장질환, 뇌혈관질환에 효과적, 혈관 내 지방을 녹여 고혈압, 당뇨 예방에 효능
부작용 : 열이 많은 소양인에게 부적합, 임산부는 복용하면 안됨, 기운이 너무 없는 경우 오히려 기를 흐트림, 고용량 복용시 두통, 위장장애, 복통 유발, 소량복용하고 장기복용 피할 것

침향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검은생강, 사포닌

참고 : 라오스 여행 중 가이드 설명 듣고 확인

검은생강(=흑생강=자색생강)(킹담/끄라차이담)

원산지 : 라오스(킹=검은, 담=생강), 태국(끄라차이담)

재배 : 라오스 몽족이 고산지대에서 자연산 재배
         (몽족이란:
        태국은 양식으로 효능 떨어짐
         (차후 태국도 방문하여 확인 예정)

효능 : 인삼 대비 사포닌 함량 5배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 억제로 당뇨에 효능
        아르기닌 : 1268mg/100g cf.일반생강 110
          ↘간 해독작용 독소배출 활성산소 생성 감소, 성기능 강화, 체온 상승, 혈기왕성
        안토시아닌 : 377.6mg/100g) cf.딸기 21, 사과 12
          ↘항산화 작용, 비만세포 증가 원인인 염증 제거
          ↘사과는 100g먹기가 쉬우나 검은생강은 같은 중량을 먹기 어려움

부작용 : 몸에 열많은 사람, 임산부는 피할 것

비고 : 기온 높고 일교차 큰 지역에서 자생, 자색이나 말리면 흑색,
         한국의 홍삼과 효능 겹쳐 수입 금지 품목으로 지정